본문 바로가기
싱글몰트 위스키 Single Malt Whisky/카발란 Kavalan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 싱글 캐스크 스트랭스 위스키(Kavalan Solist Vinho Barrique Single Cask Strength Whisky) : 대만의 걸작을 만나다

by drunkenkorea 2025. 4. 26.
반응형

대만의 카발란 증류소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세계 위스키 시장에서 놀라운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 싱글 캐스크 스트렝스(Kavalan Solist Vinho Barrique Single Cask Strength)**는 위스키 애호가들 사이에서 독보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프리미엄 싱글 몰트 위스키입니다. 이 글에서는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의 도수, 가격, 숙성년수, 증류소 정보, 위스키 종류, 사용 원액, 용량, 특징, 맛과 향, 피니시, 숙성 캐스크, 수상 내역을 중심으로 상세히 소개하며, 추가적인 매력 포인트도 함께 탐구해 보겠습니다.

 

1.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의 기본 정보

이미지 출처 : Lotte Duty free

증류소 : 카발란 디스틸러리(Kavalan Distillery)

카발란 증류소는 2005년 대만 이란현에 설립된 대만 최초의 위스키 증류소로, 킹카 그룹(King Car Group)의 리텐차이 회장이 설립했습니다. 대만의 아열대 기후와 설산(Snow Mountain)의 맑은 물을 활용해 독특한 위스키를 생산하며, 짧은 시간 안에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 카발란은 이란 지역의 원주민 부족 이름에서 따왔으며, 천혜의 자연환경과 혁신적인 숙성 기술로 고품질 위스키를 만들어냅니다.

 

위스키 종류 : 싱글 몰트 위스키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싱글 몰트 위스키로, 단일 증류소에서 맥아 보리만을 사용해 생산됩니다. 특히 싱글 캐스크 방식으로, 하나의 오크통에서 숙성된 원액만을 병입해 각 병마다 고유한 개성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용 원액

주요 원액은 **맥아 보리(Malted Barley)**로, 카발란은 최고 품질의 보리를 선별해 사용합니다. 대만의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숙성 과정에서 원액과 오크통의 상호작용이 빠르고 강렬하게 이루어져 풍부한 풍미를 만들어냅니다.

 

도수 : 54~59% (캐스크 스트렝스)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캐스크 스트렝스(Cask Strength) 제품으로, 물로 희석하지 않아 캐스크마다 도수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54~59% ABV 범위로, 높은 도수에도 불구하고 부드러운 피니시로 유명합니다. 각 병의 라벨에 정확한 도수가 표기됩니다.

 

숙성년수 : 비표기(NAS) 및 계산 가능

카발란 위스키는 대만의 아열대 기후로 인해 숙성 속도가 빨라 대부분 **숙성년수 비표기(NAS, No Age Statement)**로 출시됩니다. 그러나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병 라벨에 숙성 시작일과 병입일이 명시되어 있어 이를 통해 대략적인 숙성 기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4년 1월 숙성 시작 후 2019년 11월 병입된 경우 약 5년 10개월 숙성된 것입니다. 대만 기후 특성상 숙성 위스키와 유사한 깊이를 구현합니다.

 

용량 : 700ml 또는 1000ml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주로 700ml1000ml 두 가지 용량으로 판매됩니다. 면세점에서는 1000ml 제품이 더 흔하며, 이는 선물용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가격

가격은 구매처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대략적인 가격대입니다:

  • 국내 면세점(롯데, 신라 면세점) : 1000ml 기준 약 20만원 중반
  • 국내 일반 판매 : 700ml 기준 약 25만~37만 원
  • 대만 타오위안 공항 면세점 : 1000ml 기준 약 18만 원

면세점 구매가 일반 매장보다 경제적이며, 특히 롯데면세점에서 할인 프로모션을 활용하면 가성비가 뛰어납니다.

 

숙성 캐스크 : 와인 오크통(비노 바리끄)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아메리칸 오크 와인 배럴(American Oak Wine Barrels)**에서 숙성됩니다. 이 오크통은 와인 숙성 후 리코퍼(Re-coopered) 처리(내부를 태워 재활용)해 위스키에 깊은 과일 향과 스파이시한 풍미를 더합니다. 와인 배럴의 영향으로 붉은빛이 도는 짙은 브라운 앰버 컬러와 복합적인 풍미가 특징입니다. 이 제품은 **내추럴 칼라(Natural Color)**논칠 필터(Non-Chill Filtered) 방식으로 생산되어 원액의 순수한 맛을 유지합니다.

 

2.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의 특징

이미지 출처 : Luen Heng F&B Sdn Bhd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대만의 독특한 기후와 혁신적인 숙성 기술이 결합된 결과물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열대 기후의 마법 : 대만의 고온다습한 환경은 위스키 증발량(천사의 몫, Angel’s Share)으로 카발란은 이를 장점으로 활용해 짧은 숙성 기간에도 깊은 오크 풍미를 구현합니다.
  2. 싱글 캐스크의 개성 : 각 병은 단일 오크통에서 병입되며, 캐스크 번호와 병 번호가 라벨에 표기됩니다. 따라서 같은 비노바리끄라도 캐스크마다 미묘한 맛과 향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3. 캐스크 스트렝스 : 물로 희석하지 않아 원액의 강렬한 풍미와 높은 도수를 즐길 수 있습니다. 높은 도수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고 균형 잡힌 맛이 돋보입니다.
  4. 세계적인 명성 : 카발란은 2005년 설립 이후 빠르게 성장해 2017년 IWSC(International Wine and Spirit Competition)2018년 San Francisco World Spirits Competition에서 ‘올해의 증류소’로 선정되었습니다. 비노바리끄는 특히 2015년 WWA(World Whiskies Awards)에서 ‘월드 베스트 싱글 몰트’를 수상하며 글로벌 위스키 시장에서 주목받았습니다.

 

3. 맛과 향: 테이스팅 노트

이미지 출처 : Luen Heng F&B Sdn Bhd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풍부하고 복합적인 풍미로 위스키 애호가들을 사로잡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테이스팅 노트입니다:

 

노즈(Nose)

  • 열대 과일: 잘 익은 망고, 멜론, 키위, 시트러스 감귤의 달콤하고 상큼한 향.
  • 와인 캐스크 영향: 잘 익은 자두, 캔디드 체리, 감초, 건포도.
  • 달콤한 노트: 바닐라, 카라멜화된 설탕, 흑설탕, 다크 초콜릿.
  • 스파이시함: 후추, 오크 스파이스, 플로럴 힌트.

팔레트(Palate)

  • 풍부한 과일: 망고, 멜론, 말린 검은 베리, 크리미한 질감.
  • 달콤함과 오크: 바닐라 오크, 크리미한 토피, 카라멜, 너티한 풍미.
  • 복합성: 와인 배럴의 영향으로 와인 같은 뉘앙스와 스파이시한 오크가 조화를 이룸.
  • 질감: 묵직하고 중후하며, 크리미하고 부드러운 입맞춤.

피니시(Finish)

  • 길고 부드러움: 셰리와 유사한 건포도, 너티함, 흑설탕의 달콤한 여운.
  • 드라이함: 물을 빨아들이는 듯한 드라이한 피니시(Water Out)로, 강렬하면서도 균형 잡힌 마무리.
  • 복합적 변화: 토스티한 오크에서 스파이시, 플로럴로 이어지는 다층적인 피니시.

높은 도수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고 섬세한 피니시는 비노바리끄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로, 물 몇 방울을 추가하면 향과 맛이 더욱 풍부해질 수 있습니다.

 

4. 수상 내역

이미지 출처 : GenX GenY GenZ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세계적인 주류 품평회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그 품질을 입증했습니다:

  • 2015년 WWA(World Whiskies Awards): 월드 베스트 싱글 몰트 위스키 수상
  • IWSC(International Wine and Spirit Competition): 다수 금메달 수상
  • San Francisco World Spirits Competition: 금메달 및 높은 평가
  • 카발란 증류소 자체는 2017년 IWSC 및 2018년 San Francisco World Spirits Competition에서 ‘올해의 증류소’로 선정되며 비노바리끄의 명성을 뒷받침했습니다.

각 병에는 WWA 수상 인증서가 동봉되어 있어 제품에 대한 증류소의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5. 추가적인 매력 포인트

이미지 출처 : All Things Whisky

1) 대만의 독특한 숙성 환경

대만의 아열대 기후는 위스키 숙성에 혁신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증발률(천사의 몫 10~15%)은 원액과 오크통의 상호작용을 가속화해 짧은 숙성 기간에도 깊은 풍미를 구현합니다. 카발란의 5층 숙성 창고는 마이크로 클라이밋(Micro Climate)을 활용해 캐스크 풍미를 원액에 빠르게 스며들게 합니다.

 

2) 짐 스완 박사와 이안 창의 기여

카발란의 성공 뒤에는 위스키 전문가 짐 스완(Jim Swan) 박사와 마스터 블렌더 **이안 창(Ian Chang)**의 노력이 있습니다. 짐 스완은 대만의 기후를 활용한 숙성 기술을 설계했으며, 이안 창은 2020년까지 마스터 디스틸러로 활동하며 비노바리끄의 독창적인 맛을 완성했습니다.

 

3) 한정판의 매력

비노바리끄는 싱글 캐스크로 생산되며, 각 캐스크에서 소량만 병입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캐스크에서 100~200병만 생산되며, 병마다 캐스크 번호와 병 번호가 표기되어 수집가들에게도 매력적입니다.

 

4) 문화적 인지도

카발란은 BTS의 RM과 박찬욱 감독이 언급하며 대중적 인기를 얻었습니다. 특히 영화 헤어질 결심에 카발란 올로로소 셰리 위스키가 등장하면서 브랜드의 매력이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비노바리끄는 RM이 방탄 TV 슈취타에서 소개한 올로로소 셰리 솔리스트와 함께 카발란의 대표작으로 꼽힙니다.

 

5) 양조장 투어와 체험

카발란 증류소는 무료 양조장 투어를 제공하며, 대만어, 영어, 일본어로 진행됩니다. 방문객은 위스키 시음, 블렌딩 체험, 한정판 구매 등을 즐길 수 있어 위스키 애호가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합니다.

 

6. 구매 팁: 어디서 사는 게 좋을까?

이미지 출처 : Club Oenologique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면세점에서 구매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입니다. 추천 구매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롯데면세점, 신라면세점: 할인 프로모션을 활용하면 1000ml 제품을 10만~15만 원대에 구매 가능.
  • 대만 타오위안 공항 면세점: 1000ml 기준 약 18만 원으로, 대만 여행 시 필수 구매 아이템.
  • 온라인 주류 마켓: 데일리샷, 키햐 등에서 700ml 제품을 25만~37만 원대에 구매 가능.
  • 카발란 증류소 쇼룸: 대만 방문 시 증류소에서 한정판 및 리저브 제품 구매 가능.

구매 시 캐스크 번호와 도수를 확인해 원하는 스타일의 병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높은 도수(58~59%)를 선호한다면 라벨을 꼼꼼히 체크하세요.

 

7. 결론: 왜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인가?

이미지 출처 : Hai-O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대만의 혁신과 자연이 빚어낸 세계적인 싱글 몰트 위스키입니다. 와인 오크통에서 숙성된 깊은 과일 향, 부드럽고 복합적인 피니시, 그리고 싱글 캐스크의 희소성은 이 위스키를 특별하게 만듭니다. 2015년 WWA 수상을 비롯한 다수의 수상 내역은 그 품질을 보증하며, 면세점에서의 뛰어난 가성비는 위스키 애호가와 초보자 모두에게 매력적입니다.

대만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카발란 증류소 투어를 통해 비노바리끄의 매력을 직접 경험해 보세요. 집에서 즐기고 싶다면 면세점 할인을 놓치지 마시고, 이 특별한 위스키로 소중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만들어 보세요. 카발란 솔리스트 비노바리끄는 단순한 위스키가 아니라, 대만의 열정과 혁신이 담긴 예술 작품입니다.

 


비노바리끄란 ? 

"비노 바리끄"는 "와인 오크통"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포르투갈어 비뉴(Vinho, 와인)와 프랑스어 바리끄(Barrique, 오크통)을 합쳐 만들어졌습니다. 주로 위스키나 와인 숙성 과정에서 사용되는 오크통을 의미할 때 사용됩니다. 

  • 비뉴(Vinho) : 포루투칼어로 와인을 뜻하는 단어 입니다. 
  • 바리끄(Barrique) : 프랑스어로 오크통을 뜻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220리터 정도의 용량을 가진 오크통을 가리킵니다.
  • 비노 바리끄(Vinho Barrique) : 따라서 "비노 바리끄"는 와인 숙성에 사용되는 오크통, 즉 와인 오크통을 뜻하게 됩니다. 

 

반응형